루어 낚시~♡/채비

각종 채비법(사진포함)

이코노미 2008. 6. 30. 23:38
텍사스리그...
이미 우리가 익히 들어서 알고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다시한번 복습해 봅시다.
계속해서 연재되는 글은
이세호프로께서 조은나라에
기고했던 글을 퍼왔습니다.
www.jounnara.com/bassfishing/

이세호프로님! 고맙습니다.

@ 웜 채비법 (텍사스 리그-taxas rig)


미국의 텍사스지역 낚시에 맞게 고안되었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다.
웜 낚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교과서적인 채비로 알려져 있고 연중 조과가 꾸준히 보장되며 장애물 극복능력이 탁월한 채비로 모두가 가장 널리 쓰는 채비법 이기도 하다.
바늘 위에 씽커와 비드를 사용해 금속성 마찰음을 내주어 배스의 청각을 자극 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주로 바닥층에 머무는 배스를 공략할때 많이 쓰이는 채비이기도 하다.
이 채비는 복잡한 바닥 구조물이나 장애물에 채비가 확실히 닿게 하는것이 중요하며 장애물을 빠져 나올때 입질이 집중 된다는 점을 기억 해야 한다. 채비를 움직이는 방법(액션 연출)에는 싱커를 바닥에 부딪치게하면서 끌어 당기는 바텀 범핑(Bottom Bumping),낚시대 끝을 들어올려 채비를 띄웠다가 대를 숙이면서 가라 앉혀 중층과 바닥을 동시에 공략하는 리프트 앤 폴(Lift & Fall),낚시대 끝을 가볍게 흔들어 채비가 제 자리에서 떨리게 하는 쉐이킹(Shaking), 채비를 중층에 띄워서 사용하는 스위밍(Swimming) 등이 있다.

이제 아래의 그림을 참조해서 채비를 묶어 보자.


1. 채비에 필요한 부 재료들의 모습이다. 바늘,그리고 총알 처럼 생긴것이 씽커(봉돌), 유리나 크리스탈로 만든 비드가 필요 하다.


2. 라인에 씽커를 먼저 끼운다. 씽커의 좁은면이 먼저 끼워져야 하므로 방향을 잘 봐야 한다.


3. 다음 비드를 끼운다. 비드는 특별히 방향을 맞출 필요가 없다.


4. 바늘을 묶는다


5. 라인을 바늘귀에 통과 시킨후 여유있게 빼낸다.


6. 빼낸 라인을 한바퀴 돌려 그림과 같이 고리를 만들어 준다.


7. 고리 사이로 라인의 끝을 5회 통과 시킨다.


8. 통과 시킨 라인을 당기면 일단 매듭이 생긴다.


9. 원줄을 잡고 당기면 매듭이 바늘로 내려가 묶인다. 이때 라인에 마찰에 의한 열이 발생해서 매듭부분이 약해질 수 있슴으로 물이나 침을 발라주는 것을 잊지 말자.


10. 여분의 줄을 잘라 내고 앞서 설명한 대로 웜을 끼운다.


11. 완성된 텍사스 리그의 모습이다.

라인의 매듭 방법은 이 밖에도 여러가지가 있슴으로 다양한 방법을 숙지해 두는 것이 좋다.

캐롤라이나 리그...
이미 우리가 익히 들어서 알고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다시한번 복습해 봅시다.
계속해서 연재되는 글은
이세호프로께서 조은나라에
기고했던 글을 퍼왔습니다.
www.jounnara.com/bassfishing/

이세호프로님! 고맙습니다.

@ 웜 채비법 - 캐롤라이너 리그(carolna rigged rig)



이 채비는 바닥이 뻘이나 작은 수초로 덮혀있는 지역이나 갑자기 수심이 깊어지는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채비이다.
텍사스 리그에 비해 중간에 도래를 하나 더 묶어야 하고 초보자에게는 채비 투척과 입질 파악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중층에 떠있는 배스나 산란 전후에는 굉장한 위력을 발휘하는 채비임을 기억 해야 한다.
언뜻 보면 스프릿 샷과 유사한 채비이지만 스프릿 샷은 원줄에 싱커가 고정 되어 있고 이 채비는 원줄에 싱커가 관통 되있어 배스가 웜을 흡입할 때 봉돌은 그대로 있게 되어 부담을 덜 느낄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목 줄의 길이는 주로 30~80cm까지 사용하지만 지형이나 장애물 수심등에 따라 목줄의 길이를 조정해 사용 한다.
사용 방법은 바닥을 끌어주는것, 호핑,바텀 범핑 등을 사용 한다. 주의 할점은 목줄의 길이를 염두에 두고 입질 파악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그럼 아래의그림을 보고 채비를 만들어 보자.


1. 줄에 싱커,비드 순으로 끼운다.


2.비드 아래에 스위블 도래를 묶는다.


3. 스위블 도래의 다른쪽에 목줄을 묶는다.


4. 목줄 끝에 바늘을 묶는다.


5. 바늘에 웜을 끼운다.


6. 완성된 모습이다.


다운샷 리그...
이미 우리가 익히 들어서 알고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다시한번 복습해 봅시다.
계속해서 연재되는 글은
이세호프로께서 조은나라에
기고했던 글을 퍼왔습니다.
www.jounnara.com/bassfishing/

이세호프로님! 고맙습니다.

@ 웜 채비법- 다운샷 리그(Down shot rig)

흔히 '언더 샷' 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명칭은 '다운샷' 이다.
이 채비는 바늘이 줄 중간에 위치하고 봉돌이 아래를 향한 형태의 채비로서 목줄의 길이는 주로 장애물의 위치와 비슷하게 하지만 사용하는 웜보다 약2.2배의 길이로 사용하는게 일반적이다.
주로 깊은 수심층의 바닥에서 약간 떠있는 배스를 공략할 때 사용 하지만 요즘은 바닥의 커버가 없는 저수지 등에서도 좋은 조과를 보여주는 채비이다.

사용하는 방법에는 바닥에서 조금씩 끌어주는 것과 봉돌로 바닥을 톡톡 치게하는 것 그리고 한자리에서 작게 흔들어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1. 바늘귀에 라인을 두줄로 통과 시킨다.


2.통과시킨 두줄과 원줄을 일반적인 묶음법으로 살짝 한번 묶는다.


3. 그러면 그림과 같이 고리가 하나 생긴다.


4. 이 고리에 바늘을 그림처럼 뒤쪽이 먼저 들어가게 통과 시킨다.


5. 줄을 당겨 매듭을 지어 준다.


6. 밑줄을 바늘귀의 안에서 밖으로 한번 통과 시켜 준다.


7. 바늘을 묶은 모습


8. 밑줄에 다운샷 전용 봉돌을 달아준다.


9. 바늘에 웜을 끼우면 완성 이다.


스플릿샷 리그...
이미 우리가 익히 들어서 알고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다시한번 복습해 봅시다.
계속해서 연재되는 글은
이세호프로께서 조은나라에
기고했던 글을 퍼왔습니다.
www.jounnara.com/bassfishing/

이세호프로님! 고맙습니다.



이 채비는 다음에 설명할 캐롤라이나 리그와 유사하지만 원줄에 봉돌을 직접 고정시켜 사용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스플릿 샷 채비는 비교적 가는 라인과 스피닝 태클을 조합시켜 비교적 가벼운 채비로 사용 되나 공략 하고자 하는 수심층과 지역의 장애물에 따라 봉돌의 무게와 위치를 바꾸어 사용한다. 이 채비의 장점은 목줄의 길이 조정이 쉽고 가라앉는 속도가 느려 중층에 있는 배스나 비 활성적인 배스에게 위력을 발휘해 준다는 점이다. 보통 목줄의 길이는 30~50cm로 사용하지만 공략하고자 하는 지역이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많을 경우 10cm 내외로 극히 짧게 사용 하는 경우도 있다. 사용하는 방법은 낚시대 끝을 수면으로 숙이고 목줄이 가라앉는 속도 만큼 서서히 끌어 주는게 첫번째 요령이다.
목줄이 있음으로 봉돌이 먼저 가라앉고 웜이 천천히 가라앉게 되는데 이때 입질이 집중되므로 라인을 항상 팽팽히 유지 시켜줘야 입질 파악이 쉬워진다는 점을 기억하면 좋겠다.

그럼 아래의 사진을 참조해서 채비를 만들어 보자.


1. 이 채비에 사용 되는 일명 조개 봉돌의 모습이다. 벌어진 부분에 라인을 끼우고 누르면 줄을 집고 있게 되고 뒤쪽의 돌출된 양쪽을 누르면 앞쪽이 벌어져 탈착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2.라인에 바늘을 묶고 웜을 끼운다.


3. 바늘과 웜만 채비한 모습이다.


4.바늘에서 20~50cm내외의 위치에 봉돌을 고정 시킨다. 이것이 완성된 스프릿 샷의 모습이다. 비교적 채비가 쉬우므로 한번만 보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것으로 이제 웜낚시의 첫번째 채비를 배워봤다. 이쯤에서 필자가 여러분에게 부탁드리고자 하는 말은 웜 낚시는 비교적 인내심을 가지고 해야 하는 낚시이므로 너무 서두르지 말고 기초부터 착실히 익혀 아무쪼록 고기를 많이 잡는 낚시꾼이 아닌 생각해서 고기를 낚는 낚시를 잘하는 낚시인이 되어 건전한 낚시문화 보급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는 낚시인이 되어 주십사 하는 바람을 가져 본다.


카이젤 리그


기존의 왁키 리그와 같으나 틀린 점은 빈 바늘에 웜을 가운데로 뀌는 것이 아니라


지그헤드를 사용 한다는 점이다.


장점은 빠른 착수와 탐색에 있으나 걸림에 대한 대비책은 아직 없는 듯 하다.


몇일전 실험 삼아 한번 써 보았으나 아직 이렇다할 결과는 만들어 내지 못하였다.

그림(1)

 

그림(2)     

   

그림 1과 같은 채비 법이나 바늘만 그림 2와 같은 지그 헤드를 써 주면 된다.


이 채비에 대한 신뢰도는 아직 정확히 검증 해 보지 않았으나


꽤 괜찮은 채비 인 것으로 안다